• 갤러리
  • 초상화 갤러리
  • 2021-12-29
  • 김락
  • 작성자 : heradm 조회수 : 337

 


 


작가 김택 ​

 

 

 

 

김락​(金洛​)

 

 

<유공자 정보>

 

◆ 생년월일 : (1863-01-21​​​)
◆ 사망년월일 : (1929-02-12)
◆ 본적 : 경상북도 안동 陶山 土溪​
◆ 운동계열 : 3.1운동​​

◆ 애족장​​​​ ​(2001​​​​​​)



<공훈록> 

 

경북 안동(安東) 사람이다.

 

김락은 1910년 나라를 일본에 빼앗기자 자정(自靖) 순국한 향산(響山) 이만도(李晩燾)의 며느리이자, 1919년 ‘파리장서’ 운동의 주모자로 활동하다가 순국한 이중업(李中業)의 부인으로, 안동군 예안면(禮安面)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에 참가하였다.

 

예안시위는 고종인산에 참가했던 이동봉(李東鳳)·이용호(李用鎬)·김동택(李東澤)·신응한(申應漢) 등이 서울의 시위를 직접보고 돌아와 그 소식을 전하면서 계획이 추진되었다.

 

예안시위는 2차에 걸쳐 전개되었는데, 1차 시위는 3월 17일에 발생하였다. 

 

이날의 만세운동은 오후 3시 30분 경 30여 명의 군중이 면사무소 뒤편 선성산(宣城山)에 올라가 일본이 세운 ‘어대전기념비(御大典紀念碑)’를 쓰러뜨리는 것을 시작으로, 시장주변에 나뉘어 있던 3개의 시위대 100여 명이 일제히 시장을 향하여 진격해 갔다. 

 

시위대는 미리 정보를 탐지하고 수비대까지 동원한 일본 경찰의 진압에도 굴하지 않고 이동봉의 인솔 하에 예안주재소로 몰려갔다. 

 

그러나 주동자를 비롯한 15명이 체포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시위군중들도 해산하였다.

 

그런데 오후 6시경, 격분한 시위군중들이 구금자의 석방을 요구하며 주재소로 몰려왔다.

 

경찰의 해산 명령에도 불구하고 1,500여 명으로 늘어난 시위군중은 구금자를 탈환하고자 돌멩이와 기왓장을 던지면서 주재소로 밀고 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다시 25명이 피체되었다.

 

그러나 예안 시위는 여기에서 끝나지 않고 3월 22일 다시 2차 시위가 일어났다. 

 

오후 7시부터 약 2천명의 시위군중들이 태극기를 들고 동부동과 서부동, 선성산 위에서 무리를 이루어 만세를 부르기 시작했다.

 

그러나 일본 경찰의 발포로 13명이 부상을 입고 3명이 피체되었다.

 

 

김락도 예안의 3ㆍ1운동에 참가하였다.

 

그녀는 이 일로 피체되어 신문과정에서 받은 고문으로 인해 두 눈을 실명하여 고통 속에 여생을 마쳤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2001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민족의 딸, 아내 그리고 어머니(김희곤, 안동청년유도회, 2001) 11∼32面

高等警察要史(慶尙北道警察部) 2面​